카사바 수출 절차와 국제 규격

카사바(Cassava)는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열대 지역에서 재배되는 대표적인 수출 작물입니다. 특히 태국은 세계 최대 카사바 전분 수출국 중 하나로, 전분, 건조 카사바, 타피오카 펄 등의 형태로 다양한 국가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카사바의 수출 절차, 필요한 서류, 국제 품질 규격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1. 카사바 수출 주요 형태

  • 건조 카사바 칩 (Cassava Chips): 주로 사료용 및 전분 가공용
  • 카사바 전분 (Cassava Starch): 식품, 제약, 산업용으로 활용
  • 타피오카 펄 (Tapioca Pearls): 디저트 및 음료 재료로 수요 증가

2. 주요 수출국 및 수입국

수출국 주요 수입국
태국, 베트남, 나이지리아 중국, 일본, 한국, EU, 미국

3. 수출 절차 단계별 정리

① 사전 준비

  • HS CODE 확인 (예: 카사바 전분: 110814)
  • 품질 분석: 수분, 전분 함량, 잔류농약 검사
  • 바이어와 계약 체결 (Incoterms 명시)

② 통관 및 수출 신고

  • 수출신고서 작성 (전자 통관 시스템)
  • 인보이스, 패킹리스트, 원산지증명서(CO) 준비
  • 수출용 위생검사 또는 검역(국가별 요건 확인)

③ 선적 및 운송

  • 벌크선 또는 컨테이너 선적 (카사바 칩은 벌크, 전분은 파레트)
  • 적재 전 수분 검사 및 밀폐 포장 필수

④ 수입국 통관

  • FDA 등록 (미국 수출 시)
  • 식품 등급 통과 필요 (식용 전분)
  • 세관 서류 제출 후 검사/검역 통과

4. 카사바 전분 국제 품질 기준

항목 기준 비고
수분함량 13% 이하 FAO 기준
전분 순도 85% 이상 식품용 기준
회분 0.2% 이하 불순물 기준
미생물 기준 이하 국가별 상이

5. 수출 시 유의사항

  • 포장재: 방습 포장, 이중 밀봉 포대 사용
  • 보관 조건: 통풍되는 건조 장소, 직사광선 차단
  • 무역 제재 여부 확인: 국가별 수입 제한 품목 확인
  • 위조 인보이스 금지: 수출입 허가 취소 사유

6. 최근 수출 트렌드

  • 중국향 전분 수요 증가 → 고품질 전분 생산 요구 ↑
  • 유럽연합 식품 인증 요구 강화 (E-number, HACCP 등)
  • 타피오카 펄 수요 증가로 소포장 수출 확대 추세

결론

카사바 수출은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꾸준한 고부가가치 무역 분야입니다. 특히 전분과 건조 칩은 산업용 수요가 높고, 수출 절차가 명확하게 정해져 있어 중소 농가나 가공업체도 진입이 가능합니다. 규격과 위생 기준만 정확히 지키면, 장기적 수익 창출이 가능한 유망 품목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