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이상 고온, 강우 패턴 변화, 토양 산성화 등으로 많은 작물들이 재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카사바(Cassava)는 기후 변화에 비교적 강한 작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카사바의 기후 적응력은?
- 🌡️ 고온 내성: 35℃ 이상의 고온에서도 생육 가능
- 🌵 건조 내성: 우기–건기를 반복하는 지역에서도 수확 가능
- 🌧️ 간헐적 폭우 대응: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는 침수 회복력 보유
다만 극심한 기후 변화에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전분 함량 감소, 뿌리 부패, 병해충 확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기후 변화에 따른 주요 리스크
기후 변화 요소 | 영향 | 위험 시기 |
---|---|---|
이상 고온 | 잎 마름, 전분 축적 저하 | 생육 후기 (7~10개월차) |
집중 호우 | 뿌리 부패, 곰팡이 발생 | 우기 (5~8월) |
가뭄 | 생육 정지, 뿌리 비대 감소 | 건기 초입 (2~4월) |
기온 편차 | 병충해 증가, 성숙 지연 | 연중 발생 가능 |
3. 카사바 재배 시 기후 대응 전략
① 토양 개량 및 배수 관리
- ▶ 배수가 잘 되는 사양토 또는 사질양토 선택
- ▶ 경사지거나 물 빠짐 좋은 곳에 재배지 선정
- ▶ 폭우 시 고랑 형성 또는 고랑+이랑 배수 구조 필수
② 파종 시기 조절
- ▶ 지역별 우기 시작 전 1개월 내외 파종 권장 (태국 기준: 4~6월)
- ▶ 수확기 폭우 시기를 피하는 방식으로 작형 조절
③ 병충해 예방 방제
- ▶ 기후 변화로 진딧물, 바이러스성 병해 증가 → 주기적 순회 점검 필요
- ▶ 자연 농약(마늘·고추 추출물) 및 천적 곤충 방사 활용
④ 탄소중립형 재배 방식 도입
- ▶ 무경운 재배: 토양 유실 방지 + 탄소 저감
- ▶ 유기질 비료 사용 → 토양 미생물 회복력 ↑
- ▶ 태양광+재배 복합 모델로 2중 수익 구조 구축
4. 지속 가능한 카사바 농업을 위한 제안
- ✅ 기후 예측 기반 작형 계획 수립 (예: 파종·수확 달력 활용)
- ✅ 물 저장 시스템 구축 (빗물 저수조, 드립관수 등)
- ✅ 농장 기후 기록 일지 운영 → 2~3년간 누적 시 대응력 ↑
결론
카사바는 고온·건조에도 잘 자라는 비교적 강한 작물이지만,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관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특히 우기·건기 조절, 병충해 예찰, 파종 시기 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면, 수익성을 지키면서도 지속 가능한 재배가 가능합니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농업을 이어가기 위해, 체계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