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Cassava)는 많은 양의 칼륨과 유기물을 소모하는 작물로, 수확 후 밭을 그대로 두면 지력 저하, 병해충 누적, 작기 손실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카사바는 다년근성 특성이 있어, 잔뿌리와 줄기도 재배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확 후 밭 정비와 토양 복원 작업
1. 수확 직후 밭 정비
- 🧹 줄기·뿌리 잔재 제거: 병해충 번식 방지를 위해 줄기와 잔뿌리 수거 또는 갈아엎기
- 🌿 파쇄 및 경운: 줄기·잎은 파쇄기로 잘게 부순 뒤 경운기로 토양 혼합
- 📏 토양 수분 확인: 과습 시 배수로 확보, 건조 시 관수 조정 필요
2. 지력 회복을 위한 유기물 공급
① 유기질 퇴비 살포
- 우분, 계분, 작물 발효 부산물 등 사용
- 살포량: 1,000㎡당 1~2톤 기준
- 퇴비 후 최소 2~3주 후 파종 권장
② 녹비작물 재배
- 청예수단그라스, 헤어리벳치, 클로버 등 녹비작물 파종
- 수확 후 갈아엎기 → 유기물 + 질소 공급
- 건기 동안 휴작지 활용에 효과적
3. 토양 해충 및 병균 방제
- 🔥 태양열 소독법: 7~10일간 비닐멀칭으로 표토 살균
- 🧪 석회고토 또는 규산 처리: 산성화된 토양 pH 조절
- 🌱 친환경 방제제 살포: 미생물제, 유황합제 등 사용
4. 다음 작기 준비 방법
① 작부계획 수립
- 윤작 작물: 콩과 작물, 옥수수, 녹비작물 등
- 동일 포장 재사용 시 최소 2~3개월 간 휴작 또는 복토 권장
② 줄기 보관 및 준비
- 카사바 재파종 계획이 있다면, 건강한 줄기 상단을 음건 보관
- 차광망 아래 보관, 주 1회 이상 상태 확인
③ 토양 검정 후 시비 계획 수립
- 지역 농업기술센터 또는 토양검정소 활용
- 칼륨, 인산 부족 시 추가 시비 설계
5. 수확 후 관리 캘린더 (예시)
✔️ 수확 완료 → 10월 중순 ✔️ 밭 정비 및 잔재 제거 → 10월 하순 ✔️ 유기물 투입 및 경운 → 11월 초 ✔️ 녹비작물 파종 또는 휴작 → 11월~2월 ✔️ 다음 작기 파종 → 3월~5월
결론
카사바 재배 후 밭 관리는 단순히 다음 작기를 위한 준비가 아니라, 토양을 회복하고 장기적 농업 수익을 지키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잔재 제거, 유기물 투입, 병해충 방제, 작부계획 수립 등 각 단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면, 지속가능한 카사바 재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