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Cassava)는 전분, 타피오카, 사료, 칩 등 다양한 가공품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작물입니다. 특히 소규모 농가나 청년 창업자에게 적합한 농산물 가공 아이템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6차 산업화 및 수출용 제품 생산도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는 카사바 가공 창업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해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정리합니다.
1. 시장조사 및 아이템 선정
- 📊 타깃 시장 조사: 전분, 타피오카 펄, 플라워, 칩, 스낵, 사료 등
- 💡 상품성 판단: 지역 소비자 또는 수출국 수요 분석
- 📦 브랜드 방향성 설정: 건강식, 글루텐프리, 전통식품 등 콘셉트 정하기
2. 가공 공정 설계
기본 공정 예시: 전분 가공
세척 → 절단 → 분쇄 → 체분리 → 침전 → 탈수 → 건조 → 분말 포장
- 👷 수율 계획: 생카사바 대비 20~25% 전분 추출 예상
- ⚠️ 보건/위생 공정 확보: HACCP 기준 참고
3. 시설 및 장비 준비
장비 | 기능 | 예상 비용 (소규모) |
---|---|---|
절단기 | 카사바를 일정 길이로 잘라 분쇄 준비 | ₩1,000,000~1,500,000 |
분쇄기 | 세포 파괴 후 전분 추출 | ₩2,000,000~3,000,000 |
침전조 | 전분 입자 가라앉히기 | ₩500,000~₩1,000,000 |
건조기 | 전분 수분 13% 이하로 제거 | ₩3,000,000 이상 |
분말기/포장기 | 상품화 위한 파우더 가공 및 포장 | ₩2,000,000~₩5,000,000 |
4. 인허가 및 행정 준비
- 📝 식품제조가공업 신고 (관할 지자체 위생과)
- 🏷️ 제품 표시기준 준수: 원산지, 성분, 유통기한 등 표기
- 💳 사업자 등록 및 세무 신고 → 간이과세 또는 일반과세 선택
- 📄 6차 산업 인증 준비: 재배 + 가공 + 체험/판매 모델 구성 시 가능
5. 마케팅 및 유통 전략
- 🛍️ 판매채널 확보: 스마트스토어, 로컬푸드 매장, 농산물 직거래
- 📸 패키지 디자인 개발: 건강식, 자연 원료 강조
- 📣 초기 홍보: SNS, 블로그, 체험단 등 활용
6. 정부 지원사업 활용
- ✅ 농촌융복합산업 지원: 시설·브랜드 개발 최대 5천만 원 이상
- ✅ 청년농 창업 바우처: 초기 자금 + 기술 교육
- ✅ 소규모 가공지원 사업: 지자체 연계 가능, 장비 일부 지원
결론
카사바 가공 창업은 단순한 가공을 넘어 전통 + 건강 + 수출형 아이템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작은 규모에서도 단계별 준비를 잘하면 충분히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정부 지원과 현장 노하우를 잘 결합하면 성공적인 6차 산업 모델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위 체크리스트를 따라 하나씩 준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