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Cassava)는 비교적 척박한 토양에서도 자랄 수 있는 작물이지만, 고품질 전분 수확과 수익성 향상을 위해서는 정확한 시비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토양검정 리포트 해석 능력은 필수입니다. 이 글에서는 카사바 재배 전 또는 재배 중 시행하는 토양검정 결과표를 해석하는 법과, 그에 따른 맞춤형 비료 전략을 정리합니다.
1. 토양검정 리포트에서 꼭 봐야 할 항목
항목 | 해석 기준 | 카사바 적정 수치 |
---|---|---|
pH (산도) | 토양의 산도/알카리도 | 5.5 ~ 6.5 |
유기물 함량 | 토양 내 유기물 수준 | 20g/kg 이상 |
CEC (양이온교환능력) | 비료를 보유하는 능력 | 10~15 이상 |
유효인산 (P₂O₅) | 식물 흡수 가능한 인산 | 100~150 mg/kg |
칼륨 (K) | 전분 생성을 돕는 주요 성분 | 100~150 mg/kg |
석회 (Ca) | 세포벽 형성 및 뿌리 활력 | 400~600 mg/kg |
마그네슘 (Mg) | 광합성에 중요한 요소 | 60~120 mg/kg |
2. 카사바에 필요한 주요 비료 성분
- 🌿 질소 (N): 초기 생육에는 필요하지만 과다 시 뿌리 비대 방해
- 🌾 인산 (P): 뿌리 형성과 에너지 대사 → 파종 전 기비로 활용
- 🧂 칼륨 (K): 전분 축적과 뿌리 성숙에 핵심 → 생육 후기 비중 ↑
3. 시기별 시비 설계 예시
📌 [파종 전 기비] - 퇴비 1,500~2,000kg/1,000㎡ - 복합비료 (N-P-K = 15-15-15) 40~50kg 📌 [생육 중기 추비] (파종 후 6~8주) - 요소 (N): 5kg/1,000㎡ - 염화가리 (K): 7~10kg/1,000㎡ 📌 [생육 후기] (90일 이후) - 칼륨 추가 추비 (염화가리 또는 황산칼륨) 5~7kg/1,000㎡
4. 토양 pH 교정 요령
- 🪨 pH 5.0 이하 → 석회고토 살포 필요: 80~100kg/1,000㎡
- 🧂 알카리성(7.0 이상) → 황 또는 유기질비료 혼합 권장
5. 시비 관리 팁
- ✅ 복합비료는 고랑 사이에 넣고 줄기 파종 시 직접 닿지 않게 배치
- ✅ 추비는 비 오는 날 직후 흙과 함께 덮어줘야 휘발 손실 방지
- ✅ 액비(발효 퇴비액) 병용 시 효과적 → 엽면시비는 지양
6. 토양검정 신청 방법
- 📍 가까운 농업기술센터 또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 신청
- 📝 채취 시기: 파종 1~2개월 전 또는 수확 후 직후
- 🧪 채취 방법: 지면 아래 15cm 깊이에서 5~10곳 혼합 샘플
- 💵 비용: 대부분 무료 / 상세 분석은 소액 유료 가능
결론
카사바는 비교적 강인한 작물이지만, 토양 상태에 따라 수확량과 전분 함량에 큰 차이가 납니다. 정확한 토양검정을 통해 pH, 유효 인산, 칼륨 등 주요 항목을 체크하고, 맞춤형 시비 설계를 적용하면 수확량과 품질을 동시에 높일 수 있습니다. 다음 작기 전, 반드시 토양검정을 실시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배 계획을 세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