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 재배 + 가공 통합 사업계획서 예시

카사바(Cassava)는 고수익 작물로 각광받으며, 전분, 펄, 칩, 사료 등으로 다양한 가공이 가능한 작물입니다. 특히 재배와 가공을 연계한 6차 산업 모델로 사업화하면 소규모 농가도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예비 창업자와 청년농, 귀농인을 위한 카사바 재배+가공 통합 사업계획서 예시를 제시합니다.

1. 사업 개요

  • 사업명: 친환경 카사바 전분 가공 및 농촌 융복합사업
  • 위치: 경남 ○○군 농촌마을
  • 주요 사업: 카사바 재배(1ha) + 전분 가공(연간 30톤) + 타피오카 제품 소포장 판매

2. 사업 목표

  • ✔️ 안정적 전분 원료 확보(자체 재배)
  • ✔️ 소규모 가공 시설을 통한 부가가치 향상
  • ✔️ 글루텐프리/친환경 콘셉트 제품 유통 확대

3. 시장 분석 요약

항목 내용
소비 트렌드 글루텐프리, 건강식 관심 증가
국내 수요 전분, 타피오카 펄 수입의존 → 국산화 가능성 높음
경쟁 분석 국내 카사바 가공업체 극소수, 틈새시장 존재

4. 생산 및 운영 계획

① 재배 계획

  • 면적: 1ha (10,000㎡)
  • 품종: KU50 (전분 수율 우수)
  • 예상 수확량: 연간 약 30톤 (생카사바 기준)

② 가공 공정

세척 → 절단 → 분쇄 → 체분리 → 침전 → 탈수 → 건조 → 분말 포장

③ 장비 구성 (예상 비용)

장비 기능 예상 비용
절단기 줄기/뿌리 분절 ₩1,200,000
분쇄기 세포 파괴 및 전분 추출 ₩2,500,000
건조기 전분 수분 제거 ₩3,000,000
포장기 소포장(1kg, 3kg) ₩2,000,000

5. 예상 수익 및 손익 분석

  • 총 생산: 30톤 카사바 → 전분 약 7.5톤
  • 판매 단가: 전분 ₩3,500/kg × 7,500kg = ₩26,250,000
  • 비용(재배 + 가공 + 인건비): 약 ₩14,000,000
  • 순이익: 약 ₩12,000,000 (1년 기준)

6. 마케팅 및 유통 전략

  • 📦 로컬푸드 매장 입점
  • 🛒 스마트스토어, 쿠팡 입점
  • 📱 SNS 마케팅 (인스타그램, 유튜브)
  • 🏷️ 글루텐프리/무첨가 인증 확보 예정

7. 정부 지원 연계

  • ✅ 농촌융복합산업 인증 신청 (6차 산업화)
  • ✅ 청년농 창업지원사업 대상
  • ✅ 농산물 가공시설 지원사업 활용 가능





결론

카사바는 재배부터 가공까지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대표적인 6차 산업 작물입니다. 소규모 창업도 가능하며, 시장성도 높아 장기적인 사업 모델로 적합합니다. 위 예시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사업계획서를 발전시켜 본격적인 실행 계획을 수립해보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