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Cassava)는 전분 작물 중 하나로, 재배 후 수확된 뿌리가 다양한 유통 단계를 거쳐 전분 가공업체, 사료업체, 수출시장에 공급됩니다. 이 글에서는 카사바의 일반적인 유통 흐름과 원가 구조를 분석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가격 형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1. 카사바 유통 단계 요약
[생산자] → [집하상 or 수집업체] → [1차 가공/전분공장] → → [도매시장 또는 수출업체] → [최종 수요처 (식품/사료 등)]
① 생산자 → 집하상
- 농가는 수확 후 생카사바를 현지 중간상(집하상)에게 판매
- 수확 후 48시간 이내 운송 필요 → 가격 협상력 낮음
② 집하상 → 가공업체
- 집하상은 수백~수천 톤 단위로 모은 뒤 가공공장에 납품
- 운송비 포함 계약으로 kg당 단가가 변동
③ 가공업체 → 유통시장
- 전분, 칩, 펄 등 형태로 가공 후 국내외 유통망으로 출하
- 도매시장 납품 또는 수출업체 연계
2. 카사바 원가 구조 분석 (1톤 기준)
항목 | 원가 비율(%) | 세부 설명 |
---|---|---|
재배비용 | 35% | 종묘, 비료, 인건비 포함 |
수확·운송비 | 25% | 현장 작업 및 운반 비용 |
가공비용 | 20% | 세척, 전분화, 포장 등 |
유통/판매 수수료 | 10% | 중간상 마진, 도매 수수료 |
기타(보관, 손실 등) | 10% | 창고료, 손실률 반영 |
3. 생산자 단가 결정 요인
- 시장 수요: 전분 시세에 따라 kg당 150~220원 변동
- 품질: 수분함량, 전분율, 신선도
- 운송 거리: 가공장과 거리 멀수록 단가↓
- 계약 여부: 수출용 계약재배 시 단가 보장↑
4. 유통 전략별 단가 차이
유통 방식 | 판매 단가 (kg당) | 특징 |
---|---|---|
중간상 판매 | ₩150~₩180 | 현금 거래 빠름, 단가 낮음 |
가공장 직거래 | ₩180~₩220 | 품질 요건 있음, 단가 높음 |
가공 후 판매 (전분 등) | ₩300~₩500 | 부가가치 매우 높음 |
수출용 | USD $250~$400/ton | 계약 필요, 품질 기준 엄격 |
5. 수익성 높이는 유통 전략
- ✅ 중간상 의존 줄이고 가공장 직납 확대
- ✅ 단기 저장시설 확보 → 가격 변동 시기 조절
- ✅ 자체 브랜드 가공 및 온라인 판매 시도
- ✅ 수출업체와 계약 재배 추진
결론
카사바의 수익성은 단순히 많이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에, 어떤 품질로, 어떻게 유통하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유통 구조와 원가를 정확히 이해하고, 가능한 직접 유통 또는 가공 경로를 확보한다면 더 높은 단가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