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Cassava)는 뿌리, 줄기, 잎 등 다양한 부위를 활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작물로, 재배 + 가공 + 체험 + 유통을 하나의 모델로 엮을 경우 6차 산업화의 우수한 사례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카사바를 중심으로 한 6차 산업화 로드맵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1. 6차 산업이란?
- 1차 산업: 농업 – 카사바 재배
- 2차 산업: 제조/가공 – 전분, 타피오카, 칩 생산
- 3차 산업: 서비스/체험/판매 – 농촌 체험, 교육, 직거래
- ➡️ 이 세 가지를 통합 운영하는 것이 6차 산업입니다.
2. 1차 – 카사바 재배 기반 확보
- 📍 재배지 확보: 최소 1,000㎡ 이상
- 📈 전분 수율 높은 품종 선택 (KU50, Rayong72)
- ✅ 무병묘 확보, 토양검정 기반 맞춤 시비 → 안정적 생산 기반
3. 2차 – 카사바 가공 시스템 구축
가공 아이템 예시
제품 | 활용 | 가공 방식 |
---|---|---|
전분 | 베이킹, 소스, 글루텐프리 식품 | 세척 → 분쇄 → 침전 → 건조 → 분말 |
타피오카 펄 | 버블티, 디저트 | 전분 반죽 → 성형 → 건조 |
카사바 칩 | 건강 스낵 | 슬라이스 → 건조/튀김 → 포장 |
발효사료 | 가축용 | 줄기+잎 발효 → 포장 |
소규모 가공장 구성 예시
- 기초 장비: 분쇄기, 침전조, 건조기, 포장기
- 예산: 1,000만~3,000만 원 내외 (규모별 조정)
- 정부 지원: 농산물 가공지원 사업, 농촌융복합산업 인증
4. 3차 – 체험형 콘텐츠 및 유통채널 개발
① 체험/교육 콘텐츠
- 👩🌾 “내 손으로 타피오카 펄 만들기” 체험
- 🎓 농촌교육농장 등록 → 어린이, 청년 대상 프로그램 운영
- 📸 SNS용 포토존 + 먹거리 상품 구성 → 관광형 콘텐츠화
② 유통/판매 채널 구축
- 🛒 온라인: 스마트스토어, 쿠팡, 농사펀드, 마켓컬리 등
- 📦 오프라인: 로컬푸드 매장, 직거래장터, 농협 계약판매
- 📲 자체 브랜드 런칭 → 유기농·글루텐프리 콘셉트 활용
5. 성공 사례 요약
지역 | 운영 방식 | 성과 |
---|---|---|
태국 콘깬 | 카사바 전분 가공 + 관광 체험 농장 | 연간 방문객 5천 명, 수익 2.5배 증가 |
베트남 빈롱 | 농가 공동 브랜드 → 수출 중심 전환 | 연 매출 10억 원 돌파 |
한국 제주 (시범 사례) | 카사바 시범재배 + 체험 이벤트 | 귀농인 대상 인기 콘텐츠화 |
결론
카사바는 단순한 전분 작물이 아니라, 가공 + 체험 + 유통을 연계함으로써 브랜드 작물, 관광 자원, 교육 콘텐츠로도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6차 산업화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단계별로 작게 시작하고 연계 구조를 만들면 소규모 농가도 충분히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