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 전분 가격 동향 및 수익 전략 (2025년 상반기 기준)

2025년 상반기 기준, 국내외 전분 시장은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함께 안정적인 가격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카사바 전분(Cassava Starch)은 아시아·남미 중심 수출량 증가와 더불어, 건강식품·글루텐프리 시장 확대의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카사바 전분의 가격 동향과 함께, 농가·가공업체를 위한 실전 수익 전략을 제시합니다.

1. 2025 상반기 카사바 전분 평균 시세

구분 가격 (kg당) 변동률 (전년 동기 대비)
태국산 전분 (FOB) $0.53 ~ $0.58 +7%
국내 수입가 (CIF) ₩1,100 ~ ₩1,300 +5.5%
국내 유통가 (B2B 도매) ₩2,800 ~ ₩3,500 +4.2%
소매가 (온라인 1kg 기준) ₩3,800 ~ ₩5,000 변동 없음

해석: 물류비·수요 증가·국제 곡물 가격 상승 등의 요인으로, 전반적인 가격 인상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2. 카사바 전분의 수익 구조 계산 (소규모 기준)

  • 📌 생카사바 수확: 1ha당 약 30톤
  • 📌 전분 수율: 25% → 약 7.5톤 전분 생산 가능
  • 📌 가공 및 포장 비용: 톤당 약 ₩1,800,000 예상

💰 예상 수익 계산

항목 금액
전분 판매 (B2B 기준) ₩3,200 × 7,500kg = ₩24,000,000
총 비용 (재배 + 가공) 약 ₩14,500,000
예상 순이익 ₩9,500,000

※ 직거래·소포장으로 유통할 경우 이익률은 1.5~2배까지 증가 가능

3. 수익 극대화를 위한 전략

① 가공단계 수직통합

  • 재배 → 전분화 → 포장까지 직접 운영 시 이익률 극대화
  • 소규모 가공장 구축 또는 마을 공동가공시설 활용 권장

② 유통 채널 다변화

  • B2B(제과업체 납품) + B2C(소포장 온라인 판매) 병행
  • 글루텐프리, 유기농 콘셉트로 온라인몰 입점 시 부가가치 ↑

③ 원가 절감형 재배

  • 자체 퇴비, 유기농 재배 시 인증 혜택과 비용 절감
  • 고전분 품종(KU50) 사용 → 생산량 대비 수율 ↑

4. 주목할 만한 시장 트렌드

  • ✅ 글로벌 건강식품 수요 ↑ → 타피오카 전분 수요 지속 증가
  • 곡물 수입 규제 강화 → 비옥수수계 대체 전분 주목
  • ✅ 국내 버블티·디저트 프랜차이즈 확장 → 안정적 수요처
  • ✅ ESG 및 탄소중립 농업 → 유기농 카사바 주목받는 중



결론

2025년 상반기 기준, 카사바 전분 시장은 안정적이면서도 상승세를 유지 중입니다. **생산성과 가공 수율을 높이고, 유통 전략을 다변화**하면 소규모 농가도 충분히 1ha 기준 연 900만 원 이상의 순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원물 생산을 넘어, 전분 가공과 유통까지 고려한 창업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