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사바 관련 정부지원사업 총정리 (2025년 기준)

카사바(Cassava)는 점점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면서 국내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작물입니다. 특히 전분 가공, 사료, 6차 산업 연계로 인해 정부의 농업 정책과 보조금 대상에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카사바 관련 재배자 또는 가공 창업자에게 유용한 정부지원사업을 분야별로 정리합니다.

1. 재배 기반 구축 지원

① 밭작물 공동경영체 육성사업

  • 주관: 농림축산식품부
  • 지원 대상: 밭작물 중심 경영체, 작목반, 영농조합
  • 내용: 공동 기계·저장시설 구축비 최대 5억 원 지원
  • 카사바 적용 가능성: 재배 면적 확대 시 지원 대상 포함 가능

② 청년농 영농정착 지원사업

  • 대상: 만 18세~40세 이하 청년농업인
  • 지원: 월 최대 110만 원 × 최대 3년
  • 카사바 재배 계획서 포함 시 우대 평가 가능

2. 가공·유통 기반 지원

③ 농촌융복합산업 인증 및 지원

  • 내용: 1차(재배) + 2차(가공) + 3차(체험, 유통) 결합 시 사업화 자금 지원
  • 예시: 카사바 전분 가공 + 타피오카 체험 판매 + 온라인 유통
  • 지원 범위: HACCP 시설, 홍보, 포장 개발 등

④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활용 지원

  • 내용: 지역 유통센터를 통해 건조 카사바, 전분 제품 납품 가능
  • 지원 항목: 공동 출하, 저장, 선별, 포장 기계 지원
  • 참여 조건: 품목 단체 등록 또는 협동조합 가입

3. 수출 및 창업 지원

⑤ 농식품 수출 스타트업 지원사업

  • 대상: 농산물 가공업체 및 6차 창업자
  • 내용: 수출 마케팅, 해외 박람회 참가, 포장디자인 등 지원
  • 카사바 전분/펄/플라워 수출 품목 가능

⑥ 강소농 육성사업

  • 대상: 소규모 농업 경영체
  • 내용: 브랜드 개발, 상품화, 유통채널 연결 지원
  • 신규 품목(카사바) 도입 시 지역센터 우선 지원

4. 추가로 참고할 수 있는 제도

  • 📌 귀농·귀촌 창업지원: 초기 자금 1억 원 내외 융자 + 기술교육
  • 📌 농업기술실용화재단 R&D 자금: 전분 가공 기술 개발 시 활용 가능
  • 📌 지자체 농업기술센터: 카사바 시험재배 협력 및 장비 대여 가능

5. 신청 전 준비 사항

  • ✅ 상세한 사업계획서 작성 (재배 → 가공 → 유통 흐름 포함)
  • 시장성, 수익성, 지역 기여도 강조
  • ✅ 관련 협동조합, 품목반 가입 시 가점 부여 가능
  • ✅ 사전 교육 이수증 필수 (농정원, 농진청 등)

결론

카사바는 재배부터 가공, 유통, 수출까지 이어지는 융복합 산업화에 적합한 작물입니다. 국내에서는 아직 소수 품목이지만, 오히려 새로운 아이템으로 정부지원사업에서 주목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본문에 소개된 지원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창업·확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